[골프앤포스트=장재식 프로]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골프에서는 ‘반’으로는 부족하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볼을 보내기 위해서 셋업은 반이 아니라 7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퍼팅은 볼을 똑바로 굴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스윙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보다 셋업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번 호에서는 퍼팅 셋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지나치게 웅크리거나 일어서 있다 퍼팅을 할 때 지나치게 몸을 웅크리거나 일어선 자세는 그리 좋은 자세가 아니다. 퍼팅을 할 때 좋은 자세는 하체가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면서 스트로크 할 때 팔과 몸이 일체감 있게 움직이는데 전혀 거슬림이 없는 자세다. 만일 너무 웅크려 있다면 몸은 고정되지만 팔과 몸이 협응하며 움직이는 데는 방해가 된다. 반대로 너무 서 있다면 팔과 몸이 부드럽게 움직이겠지만 하체가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각도를 찾아 여기에 맞는 길이의 퍼터를 써야 한다. <본 기사는 에이스회원권이 조세금융신문에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재 편집해 게재합니다. 본지는 조세금융신문과 기사제휴를 맺고 콘텐츠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골프앤포스트=장재식 프로]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골프에서는 ‘반’으로는 부족하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볼을 보내기 위해서 셋업은 반이 아니라 7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퍼팅은 볼을 똑바로 굴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스윙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보다 셋업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번 호에서는 퍼팅 셋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늘 왼쪽 눈 밑에 볼을 놓는다 퍼팅에서 범하기 쉬운 이러한 오류 중 하나는 바로 볼의 위치다. 대부분 습관처럼 볼을 왼쪽 눈 밑에 놓을 것이다. 하지만 사람에게는 양쪽 눈 중 주(主)가 되는 눈이 있다. 그리고 대개 오른쪽 눈이 주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는 왼쪽 눈 밑에 볼을 두지만, 고개를 돌려 라인을 볼 때는 주시인 오른쪽 눈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미세하게 라인을 보는 각도가 변하게 되어 라인을 더 보거나 덜 보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기사는 에이스회원권이 조세금융신문에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재 편집해 게재합니다. 본지는 조세금융신문과 기사제휴를 맺고 콘텐츠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골프앤포스트=장재식 프로]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골프에서는 ‘반’으로는 부족하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볼을 보내기 위해서 셋업은 반이 아니라 70%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퍼팅은 볼을 똑바로 굴리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스윙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보다 셋업을 하면서 일어나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이번 호에서는 퍼팅 셋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스트로크에서 손 감각이 전환된다 흔히 퍼팅 스트로크를 할 때 ‘백스윙은 왼손, 다운스윙은 오른손’이라는 생각을 많이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 퍼팅 스트로크는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한쪽 손의 감각으로 할 때 거리감이 일정해지고 정교함과 일관성이 더 높아진다. 타이거우즈 역시 자신은 퍼팅스트로크를 오른손의 감각으로만 한다고 밝힌바 있다. 물론 오른손으로만 퍼팅을 하는 것이 정답은 아니다. 개인의 특성에 따라 오른손보다는 왼손의 감각으로 퍼팅을 할 때 더 일관성이 있다면 왼손 감각을 최대한 살려 퍼팅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퍼팅스트로크를 하면서 손감각의 전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만일 백스윙할 때는 왼손, 다운스윙할 때는 오른손이 된다면 ‘리듬의 균형’을 잃게 되어 생각한